Computer Science/데이터베이스(9)
-
정규화에 대해서
1. 정규화(Normalization)는 어떤 배경에서 생겨났는가? 한 릴레이션에 여러 엔티티의 애트리뷰트들을 혼합하게 되면 정보가 중복 저장되며, 저장 공간을 낭비하게 된다. 또 중복된 정보로 인해 갱신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 동일한 정보를 한 릴레이션에는 변경하고, 나머지 릴레이션에서는 변경하지 않은 경우 어느 것이 정확한지 알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규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1-1. 갱신 이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삽입 이상(insertion anomalies) 원하지 않는 자료가 삽입된다든지, 삽입하는데 자료가 부족해 삽입이 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점을 말한다. 삭제 이상(deletion anomalies) 하나의 자료만 삭제하고 싶지만, 그 자료가 포함된 ..
2020.09.21 -
Index
인덱스(Index)란 무엇인가? 인덱스는 말 그대로 책의 맨 처음 또는 맨 마지막에 있는 색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비유를 그대로 가져와서 인덱스를 살펴본다면 데이터는 책의 내용이고 데이터가 저장된 레코드의 주소는 인덱스 목록에 있는 페이지 번호가 될 것이다. DBMS 도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검색해서 원하는 결과를 가져 오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래서 칼럼의 값과 해당 레코드가 저장된 주소를 키와 값의 쌍으로 인덱스를 만들어 두는 것이다. DBMS 의 인덱스는 항상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원하는 값을 탐색하는데는 빠르지만 새로운 값을 추가하거나 삭제, 수정하는 경우에는 쿼리문 실행 속도가 느려진다. 결론적으로 DBMS 에서 인덱스는 데이터의 저장 성능을 희생하고 그 대신 데이..
2020.09.21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유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기 이전에는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였다. (현재도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데이터를 각각의 파일 단위로 저장하며 이러한 일들을 처리하기 위한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연동이 되어야 한다. 이 때의 문제점은 데이터 종속성 문제와 중복성, 데이터 무결성이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데이터의 독립성 물리적 독립성 : 데이터베이스 사이즈를 늘리거나 성능 향상을 위해 데이터 파일을 늘리거나 새롭게 추가하더라도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논리적 독립성 : 데이터베이스는 논리적인 구조로 다양항 응용 프로그램의 논리적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다. 데이터의 무결성 여러 경로를 통해 잘못된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의 수를 방지하는 기능으로..
2020.09.21